이번 콘텐츠는 이런 내용을 다뤄요
올해 상반기 동안 오하우스애즈는 빠르게 안정화되어 왔고,
현재는 전체 지면의 약 2/3 이상이 오하우스애즈 영역으로 확장되었어요.
따라서 지금부터는 오하우스애즈 중심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입니다.
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오하우스애즈가 100% 안정화되는 시점에 맞춰 상품광고가 종료될 예정이라는 점입니다.
이미 운영 중인 파트너사라면 오하우스애즈로 일예산 비중을 높여주시고,
아직 오하우스애즈를 시작하지 않으신 파트너사도 진입 최적기인 지금 시작해보세요.
새로운 일예산 가이드, 오하우스애즈 90% 상품광고 10%
전체 광고 예산을 오하우스애즈에 9 : 상품광고에 1 비중으로 분배해 주세요.
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현재 오하우스애즈 지면이 2/3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.
지면 비중이 높아진 만큼 오하우스애즈에 비중을 더 높여주시길 권장 드립니다.
추가 예산 증액은 언제가 적절할까요?
오하우스애즈가 기존 상품광고보다 노출 지면이 훨씬 넓고, 키워드 타겟팅까지 가능해지면서 성과에 만족하신 파트너사도 많을 텐데요.
그래서 성과를 더 극대화해 보고 싶어 일예산 증액을 고민하고 계신 분들도 계실 것 같습니다.
그럴 때는 아래 체크리스트를 통해 증액에 적절한 시기가 언제인지 확인해 보세요.
최근 7일 이상 설정한 일예산이 안정적으로 소진되고
캠페인 ROAS가 목표치에 도달하고 있을 때 증액을 검토해 보세요
•
스마트 입찰 방식이라면 : 설정한 목표 ROAS 기준
•
수동 입찰 방식이라면 : 내부 수익 기준에 따라 설정한 ROAS 도달 여부
오하우스애즈가 아직 낯설어요
오하우스애즈에 대해서 많이 듣긴 했는데 아직 낯설고 어려우실 수 있어요.
그런 분들을 위해 자주 묻는 질문들을 정리해 봤습니다.
Q1. 일예산이 소진이 안 될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?
•
적정 일예산과 CPC를 설정하셨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. 일예산이 너무 적을 경우 노출이 저조하고 머신러닝 최적화가 어려울 수 있어요.
Q2. 권장 일예산이 왜 3만원 인가요?
•
한 캠페인당 최소 클릭이 100건 이상 이루어져야 유의미한 광고 성과를 볼 수 있습니다. 오늘의집 평균 CPC가 300원대이므로, 클릭당 평균 300원 * 하루 클릭 100건 = 일예산 3만원을 권장 드립니다.
Q3. 오하우스애즈 각 입찰 방식의 적정 CPC 혹은 목표 수익률이 어떻게 되나요?
•
수동 성과형 입찰 방식의 권장 입찰 CPC는 250원 ~ 300원대 사이 입니다.
•
스마트 최적화 입찰 방식의 목표 수익률은 수동 성과형 입찰 방식으로 먼저 운영한 뒤, 해당 캠페인에서 실제로 얻은 수익률을 기준으로 설정해 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.
Q4. 상품광고 안하고 오하우스애즈만 해도 되나요?
•
오하우스애즈 성과가 안정적이거나 광고비 예산이 한정적이라면 오하우스애즈만 운영하셔도 무방합니다.
Q5. 오하우스애즈 키워드 세팅 노하우가 궁금해요
•
오하우스애즈 키워드 타겟팅, 꼭 알아야 할 세가지 콘텐츠를 확인해 주세요.
지금부터는 오하우스애즈가 정답입니다.
상품광고는 점점 줄어들고 있고, 오하우스애즈는 점점 더 커지고 있어요.
광고 예산 분배, 키워드 세팅, 운영 방향까지
모든 전략의 중심에 오하우스애즈를 두는 게 가장 효율적인 선택이에요.
아직 전체 광고 예산에 70%만 쓰고 계셨다면 오늘부터 90%로,
아직 시작 전이라면 지금이 최적의 타이밍입니다.
더 이상 망설이지 말고 빠르게 오하우스애즈를 시작하세요!
본사 광고 담당자가 열심히 답해드릴 예정이니 아래 채널로 언제든 문의주세요 :)